10월 전체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요?
10월 데이터를 적용하여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10월 데이터를 반영한 매매, 전세가격지수 그래프입니다.
매매거래, 전세가격지수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요?
그래프에서도 보듯이 매매거래, 전세가격지수 모두 상승세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10월 매매가격지수는 92.8로 전월 92.4에 비해 0.4p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2024.7월~2024.9월에 비해 상승폭이 많이 감소하였습니다.
7월~8월 0.9p, 8월~9월 0.8p 증가했다면 9월~10월 0.4p 증가로 증가폭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4.10월 전세가격지수는 91.4로 전월 91.0에 비해 0.4p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2024.7월~2024.9월에 비해 매매가격지수와 유사하게 상승폭이 많이 감소하였습니다.
7월~8월 0.8p, 8월~9월 0.6p, 9월~10월 0.4p 증가로 증가폭은 매월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0월 데이터를 반영한 매매거래지수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살펴봤을 때 매매거래지수가 어떤가요?
전월에 비해 급격하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매매거래가 전월에 비해 감소하여 매매가격, 전세가격지수 증가폭이 감소한 것을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매매거래지수는 2024.7월 45.6으로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매월 감소하여 2024.10월에는 13.7을 기록하였습니다.
10월 데이터를 반영한 매수우위지수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살펴보면 매매거래지수와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매매거래가 증가한다는 것은 매수자가 기존에 비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매매거래가 감소하면 매수자 또한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매수우위지수는 매매거래지수와 유사한 그래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0월 데이터를 반영한 전세수급지수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전세수급지수는 전월에 비해 조금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세수급지수가 100을 초과하게 되면 공급 부족을 의미합니다.
서울의 경우에는 평균이 147.5로 공급이 부족한 지역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전세 공급이 부족하니 전세가격지수는 어떨까요?
수요는 있는데 공급이 부족하니 전세가격지수는 증가하게 됩니다.
서울 10월 전체 부동산 시장에 대해 분석해봤습니다.
서울의 매매가격, 전세가격지수는 여전히 증가추세에 있지만 증가폭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증가폭이 감소했다는 것은 이전에 비해 매매거래가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2024.10월 한국의 기준금리는 3.50%에서 3.25%로 0.25%p만큼 하락하였습니다.
그러나 매매거래가 증가하지 않는 것은 대출 규제로 인해 매수 심리가 위축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당분간은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변화와 부동산 정책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다양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반드시 알아야 할 부동산 대장 지역 파악하기 (17) | 2024.10.29 |
---|---|
누구나 한 눈에 알 수 있는 10월 전체 부산 부동산 분석 (4) | 2024.10.29 |
부동산 입지 2 - 강남이 오를 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이유 (15) | 2024.10.22 |
누구나 한 눈에 알 수 있는 서울 부동산 분석 (10월 2주차 데이터 반영) (3) | 2024.10.11 |
누구나 한 눈에 알 수 있는 서울 부동산 분석 (9월 2주차 데이터 반영) (3) |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