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재테크 이야기

누구나 알아야 할 재테크의 첫 시작은 저축부터

by 실천부자 2025. 4. 1.
728x90
반응형

 

 

재테크의 시작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요?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생각이 다르듯이 재테크를 바라보는 관점도 모두 다르다고 생각이 듭니다. 

 

재테크의 목적을 살펴보면 자산을 지키면서 돈을 불리는데 있습니다. 

돈을 불리기 위해서는 무엇이 뒤따라야 할까요?

바로 '저축'을 통해 돈을 모으는 행위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돈을 모아야 하는 이유를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 B 두 사람이 있습니다. 

A는 매월 월급에서 20%를 따로 적금에 불입하여 현재 1억을 모아둔 상태입니다. 

B는 월급에서 일부를 따로 모으지 않고 대부분을 소비하여 현재 500만원이 있는 상태입니다. 

 

경기 호황으로 인해 은행의 금리가 차츰 높아져 5% 예금 상품이 나왔습니다. 

A, B는 현재 모아둔 돈으로 3년 만기 예금 상품에 가입하려고 합니다. 

3년 후 A, B가 수령하는 금액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 B
원금 합계 100,000,000원 5,000,000원
세전 이자 15,000,000원 750,000원
이자 과세(15.4%) 2,310,000원 115,500원
세후 수령액 112,690,000원 5,634,500원 

 

A의 경우 세전 이자가 15,000,000원이 발생했고 과세 후 12,690,000원의 이자를 수령하게 됩니다. 

B의 경우 세전 이자가 750,000원이 발생했고 과세 후 634,500원의 이자를 수령하게 됩니다. 

 

위 표에서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요?

원금이 커지면 같은 금리를 적용하더라도 발생하는 이자는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축을 통해 돈을 조금씩 늘려나가는 것이 재테크의 기본이 되는 것입니다. 

 

 

 

 

 

 

보도 섀퍼의 「돈」은 부자가 되기 위해 단순히 해결책을 알려주는 것을 벗어나, 부자가 되는 과정 속에서 어떤 요소들이 필요한지를 자세히 안내하고 있어 개인적으로는 훌륭한 서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에서는 부자가 되기 위해 간단한 원칙을 말하고 있습니다. 

"저축하고 투자하라." "다시 저축하고 투자하라."

 

절제를 통한 꾸준한 저축과 투자에 대한 다양한 독서와 공부를 강조하였습니다. 

그리고 위기는 반드시 다가오니 미리 대비하고 있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2019년 11월 코로나 19가 전세계를 강타하면서 전세계 경제는 마비되었고 주가는 폭락하였습니다. 

예상치 못한 위기가 다가온거죠. 

 

A, B는 위기를 기회로 생각하여 모아둔 돈을 삼성전자 주식에 투자를 하려고 합니다. 

A, B는 매일 주가를 눈여겨보면서 1주에 45,000원(2020.3월 최저가 42,500원)일 때 주식을 매입합니다. 

A는 4,500만원으로 1,000주를 매입하였고, B는 90만원으로 20주를 매입하였습니다. 

 

백신이 개발되면서 세계 경제는 조금씩 회복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각 국의 중앙은행은 금리를 낮춰 시장에 유동성을 제공하였고, 주가는 계속 상승하였습니다. 

A, B는 1주에 90,000원(2021.1월 최고가 96,800)이 되었을 때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모두 매도하였습니다. 

 

A, B 모두 100% 수익률을 거둬 성공적인 투자를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A, B의 수익을 계산해보겠습니다. 

 

A 수익 = 1주당 45,000원 x 1,000주 = 45,000,000원

B 수익 = 1주당 45,000원 x 20주 = 900,000원

 

투자 금액에 따른 수익을 비교했을 때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같은 수익률이지만 벌어들인 금액은 엄청나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는 그동안 차곡차곡 돈을 모은 행동에 대해 보람을 느낄 것이며, B는 조금씩이라도 돈을 모을껄 하는 후회가 생겼을수도 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와닿은 문구로 마무리를 지으려고 합니다. 

"어떤 사건의 결과에 대한 책임은 나에게 있다."

 

앞으로 다양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