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장으로 돈이 어떻게 들어오고 빠져나가는지 알고 계신가요?
나의 자산을 불리기 위해서는 돈을 모아야 합니다.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월급 외에 추가적인 수입을 창출하거나 절약을 해야 합니다.
절약을 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나의 씀씀이를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계부를 작성하면 나의 소득과 지출을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소득과 지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득에 비해 지출이 많은지 혹은 적은지와 지출이 많은 부문 또한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금융 자산, 보험, 부동산 자산, 부채 등 총자산을 작성하면 전체 자산이 어느정도 되는지와 늘어나고 있는지 혹은 줄어들고 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즉 가계부와 총자산을 작성하면 전반적인 자산 상황을 한 눈에 볼 수 있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매월 자산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면 새로운 동기와 자기 효능감이 생기기도 합니다.
오늘은 제가 매월 작성하고 있는 가계부와 총자산 양식 내용을 설명하고 파일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꼭 사용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파일을 열어보시면 먼저 소득과 지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득 정보에는 가족명, 소득명, 금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족 전체 소득이나 개인 소득을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소득 정보를 작성하면 자동적으로 소득에 대한 총액이 계산됩니다.
지출 정보는 고정 지출과 변동 지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정 지출은 매월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항목이고, 변동 지출은 매월 변동이 있는 지출을 의미합니다.
인터넷 뱅킹이나 카드 내역 등의 자료로 하나씩 작성해줍니다.
소득 정보와 마찬가지로 항목 별로 지출 항목과 금액을 작성하면 아래 총액이 자동적으로 계산됩니다.
금융 자산은 크게 유동성 자산, 주식형 자산, 연금형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동성 자산에는 현금, 예금, 적금, CMA 등이 해당되고 주식형 자산에는 주식, 펀드, 파생상품 등이 속합니다.
마지막으로 연금 자산에는 연금과 관련된 상품들을 작성하면 되고 개인연금, 변액연금, 변액유니버셜 등이 해당될 수 있습니다.
표의 항목은 개인 별로 상황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보험 항목은 현재 가입되어 있는 보험 내역을 작성하면 됩니다.
이 항목을 통해 중복되거나 과도하게 가입된 보험이 있는지 파악을 하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자산을 모두 작성합니다.
평가 금액은 실거래가 중심으로 작성한다면 부동산 가격의 변동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부채가 있다면 부채 항목에 상세히 작성하면 됩니다.
1 ~ 6번 항목까지 모두 작성하면 자동으로 자산 총액이 계산됩니다.
해당 시트를 통해서는 당월 소득, 지출, 금융 자산, 보험, 부동산 자산, 부채, 자산 총액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익월 작성을 위해 시트를 복사할 때는 복사하고자 하는 시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이동/복사를 선택해줍니다.
이동/복사 메뉴에서 '다음 시트의 앞에' 에서 월별 통계 현황을 선택한 뒤 복사본 만들기를 체크해줍니다.
'월별 통계 현황' 시트는 월별 자산, 부채, 소득, 지출, 순자산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시트에서는 각 항목들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상황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저는 매월 작성하고 있는데 전체 자산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꼭 실천하셔서 나의 자산을 파악해보시길 바랍니다. 강력 추천드립니다.
앞으로 다양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금융 재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알아야 할 IRP의 모든 것 (6) | 2025.03.18 |
---|---|
누구나 알아야 할 연금저축의 모든 것 (4) | 2025.03.17 |
누구나 반드시 알아야 할 절세의 필요성 (1) | 2024.12.11 |
누구나 알아야 할 금융 상품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 (2) | 2024.12.09 |
누구나 알아야 할 채권의 모든 것 (12) | 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