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11월 부동산 시장은 매매거래 감소로 인해 매매가격, 전세가격지수가 증가추세를 이어나갔지만 증가폭이 감소한 형태를 보였습니다.
12월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요?
월간시계열 데이터를 적용하여 전반적인 서울 부동산 상황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2월 데이터를 반영한 매매, 전세가격지수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살펴봤을 때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가요?
매매거래, 전세가격지수 모두 상승세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두 지수 모두 상승폭은 11월에 비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4.12월 매매가격지수는 93.3으로 전월 93.1에 비해 0.2p 증가하였습니다.
다만 2024.5월부터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상승폭은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12월 전세가격지수는 92.1로 전월 91.8 에 비해 0.3p 증가하였습니다.
매매가격지수와 유사하게 여전히 상승 추세에 있지만 증가폭은 이전에 비해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매매가격지수의 증가폭이 줄어든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중 한가지 이유는 매매거래의 감소입니다.
12월 데이터를 반영한 매매거래지수 그래프입니다.
2024.7월 이후 매매거래가 확연하게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매매거래가 활발하다는 것은 기존에 비해 수요가 많다는 것입니다.
공급은 한정되어 있는데 수요가 많으면 부동산 가격은 증가하게 됩니다.
반대로 매매거래가 감소하면 기존에 비해 수요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요가 적어지면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아파트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으면 집주인 입장에서는 "집값을 올려도 사주는 사람이 있겠지?"라는 심리가 작동하지 않을까요?
매매가격를 올렸을 때 거래가 이루어진다면 이전 매매가격는 새로운 기준 값이 됩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거래가 계속 이루어진다면 매매가격은 증가하는 추세를 이어나가게 됩니다.
매매거래가 감소했다는 것은 매수자가 기존에 비해 줄어든 것을 의미합니다.
12월 그래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전에 비해 매수우위지수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매매거래지수와 매수우위지수는 깊은 연관성을 가집니다.
두 지수는 각자 분석을 하는 것보다는 함께 연관지어 분석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12월 데이터를 반영한 전세수급지수 그래프입니다.
전체적으로는 해당 지수가 100을 초과하므로 공급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단, 서울의 전세수급지수 평균이 147.2를 감안하여 살펴보면 2024.12월 125.5는 이전에 비해 공급이 늘어난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전세거래지수는 2024.7월 이후 감소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매매거래지수와 마찬가지로 전세거래가 감소한다는 것은 기존에 비해 전세 수요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급은 증가되었는데 수요가 줄어들면 전세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전반적인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이와 같은 추세가 1월에도 이어진다면 전세가격도 보합 또는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됩니다.
앞으로 다양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할 수 있는 부동산 데이터로 차트 만들기 (0) | 2025.02.27 |
---|---|
누구나 반드시 알아야 할 부동산 갭투자의 모든 것 (0) | 2025.01.30 |
누구나 알아야 할 11월 전체 인천 부동산 분석 (4) | 2024.12.03 |
누구나 알아야 할 11월 전체 경기 부동산 분석 (2) | 2024.12.02 |
누구나 알아야 할 11월 전체 서울 부동산 분석 (2)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