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금과 예금에 대해 잘 알고 계신가요?
기본적으로 여유 자금이 있다면 돈을 불리기 위해 적금과 예금에 많이 가입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가입하고 있는 상품이지만 숨겨진 비밀에 대해 파헤쳐보려고 합니다.
먼저 적금에 대해 살펴보면 적금에는 정기적금과 자유적금이 있습니다.
정기적금 : 매월 정해진 날짜에 일정 금액을 불입하는 방식
자유적금 : 자유롭게 내가 원하는 날짜에 원하는 금액을 불입하는 방식
은행 입장을 생각해볼까요?
A 고객 정기적금, B 고객이 자유적금으로 은행에 돈을 맡기면 은행은 그 돈으로 또 C, D 등 다른 사람에게
대출을 해줍니다.
은행은 언제 자금이 입금될지 모르는 B보다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이 입금되는 A가 대출 계획을 세우는데
수월할 것입니다.
따라서 은행은 나에게 더 많은 도움을 준 B보다 A에게 더 높은 이자를 주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정기적금은 자유적금보다 이자가 더 높습니다.
자유적금에 대한 이자를 계산해볼까요?
자유적금은 매월 불입하는 방식이 아니고 원하는 날짜에 금액을 불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월 단위가 아니고 일 단위로 이자가 계산됩니다.
자유적금 이자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금 100,000 원 금리 5% 가입한 날짜가 2024.01.02 처음 불입한 날짜가 2024.02.07 일 때 이자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 공식을 해석해보면 가입한 날짜를 기준으로 최대한 가까운 시일 내에 불입하였을 때 이자가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정기적금에 대해 이자를 계산하는 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원금 100,000원 금리 5% 가입기간 1년으로 가정해보겠습니다.
매월 이자를 산출하는 공식은 원금 x 이자 x 남은 금리 적용 월 / 12 입니다.
회차 | 매월 이자 공식 | 매월 이자 | 이자 합계 | 과세를 적용한 이자 |
1회차 | 100,000 X 5% X 12/12 | 5,000 | 32,500 | 과제 15.4% 적용 시 5,005 세후 이자 27,495 |
2회차 | 100,000 X 5% X 11/12 | 4,583 | ||
3회차 | 100,000 X 5% X 10/12 | 4,166 | ||
4회차 | 100,000 X 5% X 9/12 | 3,750 | ||
5회차 | 100,000 X 5% X 8/12 | 3,333 | ||
6회차 | 100,000 X 5% X 7/12 | 2,916 | ||
7회차 | 100,000 X 5% X 6/12 | 2,500 | ||
8회차 | 100,000 X 5% X 5/12 | 2,083 | ||
9회차 | 100,000 X 5% X 4/12 | 1,666 | ||
10회차 | 100,000 X 5% X 3/12 | 1,250 | ||
11회차 | 100,000 X 5% X 2/12 | 833 | ||
12회차 | 100,000 X 5% X 1/12 | 416 |
표면 금리 5%가 매월 금리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회차 | 매월 적용 금리 | 적용 금리 | 평균 금리 | |
1회차 | 5% X 12/12 | 5% | 2.7% | |
2회차 | 5% X 11/12 | 4.58 % | ||
3회차 | 5% X 10/12 | 4.16 % | ||
4회차 | 5% X 9/12 | 3.75 % | ||
5회차 | 5% X 8/12 | 3.33 % | ||
6회차 | 5% X 7/12 | 2.91 % | ||
7회차 | 5% X 6/12 | 2.5 % | ||
8회차 | 5% X 5/12 | 2.08 % | ||
9회차 | 5% X 4/12 | 1.66 % | ||
10회차 | 5% X 3/12 | 1.25 % | ||
11회차 | 5% X 2/12 | 0.83 % | ||
12회차 | 5% X 1/12 | 0.41 % |
네이버, 다음 등에서 적금 상품을 검색하면 모두 표면금리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실제로는 금리 5% 적금 상품은 2.7% 금리가 적용되는 상품입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인지한 후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정기 예금 상품을 살펴보겠습니다.
정기 예금은 한번에 목돈을 예치하고 예치한 기간에 따라 이자가 붙는 상품입니다.
적금과 이자를 비교하기 위해 원금 1,200,000원 금리 5% 예금 상품을 1년간 가입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예금은 원금에 5% 금리가 바로 적용됩니다.
이자 : 1,200,000 x 0.05 = 60,000
과세 15.4% 적용 시 9,240
세후 이자 50,760
정기적금과 예금 상품의 이자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1. 규칙적으로 월급이 나오면서 목돈을 모아야 할 때 : 정기 적금
2. 사업자와 같이 수입이 불규칙하면서 목돈을 모아야 할 때 : 자유 적금
3. 목돈을 당장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돈을 불리고 싶을 때 : 정기 예금
앞으로 다양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금융 재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금융교육센터에서 금융교육 한 눈에 (0) | 2024.05.30 |
---|---|
누구나 알아야 할 대출상환방식 중 나에게 가장 유리한 것은? (0) | 2024.05.23 |
누구나 알아야 할 내계좌 한눈에 모든 것 (feat. 나의 숨은 돈 찾기) (0) | 2024.05.21 |
누구나 알아야 할 복리를 적용할 때 수익을 결정하는 요소는? (0) | 2024.05.09 |
적금에 가입하면 돈을 잃는다?! (1)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