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의 그림을 보고 무엇을 느꼈나요?
100만원, 1000만원, 1억으로 연 4% 정기예금에 1년 가입했을 때 세후 수령액을 나타낸 그림입니다.
직관적으로 봤을 때 원금이 많을수록 이자는 대폭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돈의 속성」의 저자인 김승호님은 책에서 종잣돈이 1억 정도는 되어야 의미있는 투자를 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작은 돈으로는 투자에서 손해 또는 이익이 나더라도 큰 충격이나 보람이 없어 관심이 줄어든다고 하였습니다.
100만원을 1년 동안 예금에 가입했을 때 세후 이자는 33,840원 입니다.
이익은 얻었지만 큰 보람이 있나요? 더 많은 돈을 모아야 겠다는 동기가 생기나요?
1000만원을 1년 동안 예금에 가입했을 때 세후 이자는 338,400원 입니다.
이익이 10배 늘었습니다. 어떤가요?
30만원이 넘는 이자가 생기다보니 조금은 돈을 모으는 것에 대해 동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1억을 1년 동안 예금에 가입했을 때 세후 이자는 3,384,000원 입니다.
이 점이 바로 김승호님이 말한 종잣돈을 모아야 하는 이유가 됩니다.
종잣돈을 모아야 하는 동기를 얻었다면 다음은 돈을 모으는 방법입니다.
어떻게 모아야 할까요?
처음 소개할 방법은 이미 너무 많이 들어서 무료하겠지만 가장 중요한 방법인 '절약' 입니다.
월 수입이 300만원이라고 할 때 소비가 월 수입을 넘어가면 종잣돈을 절대 모을 수 없습니다.
물건을 할인을 많이 받아 저렴하게 구매한 것은 돈을 절약한 것일까요?
이는 정답일 수도 있고 오답일 수도 있습니다.
물건이 정말 나에게 필요했다면 저렴하게 구매한 것이 돈을 절약한 것이 됩니다.
그런데 만약 나에게 꼭 필요한 물건이 아니지만 구입을 했다면 돈을 절약한 것이 아닙니다.
물건을 구입하기 전에 이 물건이 꼭 필요한 물건인지를 자신에게 물어보시길 바랍니다.
조금이라도 망설임이 있다면 나에게 필요없는 물건이니 구입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두 번째 방법은 월 수입에서 조금은 과하게 안전 상품인 적금 등에 가입하는 것입니다.
월 수입 300만원에서 100~150만원 정도를 적금에 가입한다면 사람은 손해를 보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에 적금을 해지하는 선택대신 생활을 150~200만원 이내에서 하게 됩니다.
우선 비행기 티켓을 구입하면 여행을 가게 되는 것처럼 강제로 자신이 구속되는 상황을 만든다면 그 상황에 맞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방법은 월급 외 추가적인 수입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추가적인 수입 창출에는 SNS 활동, 도서 집필, 앱 또는 웹 등의 서비스 제공, 투자를 통한 수익 창출 등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책을 집필하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지만 책이 출간되면 판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출판사로부터 인세를 받습니다.
아파트를 구입한 후 2억원에 전세를 준 경우 만기가 될 시점에 전세 가격이 2억 4000만원으로 올랐다면 4000만원은 다시 투자를 할 수 있는 종잣돈이 될 수 있습니다.
종잣돈을 모았다면 이제 투자를 하고 관리를 해야 하는 단계입니다.
투자와 관리를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무엇이 뒷받침 되어야 할까요?
바로 '공부'입니다.
나의 돈을 불리고 잃지 않으려면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있어야 합니다.
전반적인 경제 흐름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금융 지식을 토대로 투자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현재 경제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그리고 경제 변화에 따라 추가적으로 어떤 요소들이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적합한 상품에 투자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024.8월 현재까지는 한국의 기준 금리가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적금, 예금에 가입하는 것도 훌륭한 재테크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채권이라는 상품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다면 현재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시점에서 투자하기 좋은 상품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제가 내린 결론은 다양하게 공부를 하면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이 넓어지게 되고 각 요소들간의 관계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선택의 순간에서도 다양한 선택지 사이에서 상황에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안목이 생기게 됩니다.
꾸준한 공부만이 나의 돈을 불리고 관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비결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앞으로 다양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금융 재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알아야 할 금융 상품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 (2) | 2024.12.09 |
---|---|
누구나 알아야 할 채권의 모든 것 (12) | 2024.09.03 |
국세청에서 세금 공부 자료 다운로드 받기 (0) | 2024.05.31 |
e-금융교육센터에서 금융교육 한 눈에 (0) | 2024.05.30 |
누구나 알아야 할 대출상환방식 중 나에게 가장 유리한 것은? (0) | 2024.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