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

주식 투자에서 누구나 꼭 알아야 할 EPS 간단하게 분석하기

by 실천부자 2024. 7. 25.
728x90
반응형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요?

저는 무엇보다도 내가 가진 돈을 잃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투자 중 주식 투자를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나의 돈을 잃지 않기 위해 나름대로의 기준이 있으신가요?

 

 

 

 

주식 투자에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기업의 지표를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여러 지표 중 EPS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글에서는 기업의 전체적인 가치를 분석해서 저평가 여부를 확인해봤습니다. 

이 내용도 꼭 학습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반드시 알아야 할 기업 가치 분석 방법 (ft. 저평가 주식 확인)

주식으로 수익이 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기본적으로 저렴할 때 매입하여 가격이 올랐을 때 매도해야 수익이 나게 됩니다. 그렇다면 주식이 저렴하다는 것은 어떻게 판단하시나요?단

practiceandrich.tistory.com

 

 

 

 

EPS(Earning Per Share)는 1주당 순이익을 뜻합니다. 

순이익은 비용, 세금을 뺀 순수 이익입니다. 

EPS 개념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수식을 보면 EPS는 순이익이 클수록, 발행주식 수가 적을수록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EPS가 크다는 것은 기업이 이익을 많이 창출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익을 많이 창출한다는 것은 기업의 가치가 높다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EPS로 종목을 고를 때에는 한 해보다는 여러 해에 걸쳐 EPS 값이 계속 증가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발행주식 수 변동이 없을 때 여러 해에 걸쳐 EPS가 증가한다는 것은 순이익이 계속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순이익이 계속 증가한다는 것은 해당 기업이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EPS 수치는 HTS, MTS 등의 트레이딩 시스템이나 네이버 등에서 해당 주식을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서 삼성전자를 검색하면 다음과 같이 여러 해의 EPS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지난 3년 간의 수치와 올해 예상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EPS가 증가하다가 2023년에 감소하였고 올해는 5,856원으로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2023년의 경우 당기순이익을 보면 154,871억원으로 다른 해에 비해 순이익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순이익이 적어 해당 연도의 EPS 값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종목을 선정할 때는 EPS 값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러 종목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때 여러 요소의 값이 유사하다면 EPS 값이 크면서, 매년 증가하는 종목을 선택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앞으로 다양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