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누구나 반드시 알아야 할 미국 경제지표 - 국내총생산(GDP)

by 실천부자 2024. 11. 8.
728x90
반응형

 

 

경기와 주가에 큰 영향을 주는 경제지표 중 국내총생산 GDP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GDP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차트는 분석하는 것은 경기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GDP 데이터로 차트를 만드는 과정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경제 지표 데이터로 엑셀 차트 만들기

 

누구나 할 수 있는 경제 지표 데이터로 엑셀 차트 만들기

경기와 주가에 영향을 주는 경제 지표를 파악해봤다면 다음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경제 지표가 어떤 흐름을 이어나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수

practiceandrich.tistory.com

 

 

 

 

 

GDP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는 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 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합한 지표입니다. 경제 규모를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국가 경제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GDP는 보통 분기별 또는 연간 단위로 발표되며, 국가의 경제 성장률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GDP는 크게 4개의 주요 구성 요소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소비 (Consumption): 가계가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는 금액으로, 개인 소비가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예를 들어, 음식, 의류, 의료 서비스,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2. 투자 (Investment): 기업들이 생산 시설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장비를 구매하는 등의 투자를 포함합니다. 또한, 건설업이나 주택 건설과 같은 부분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3. 정부 지출 (Government Spending): 정부가 공공 서비스, 국방, 교육, 인프라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 지출하는 금액입니다. 정부의 지출은 경기를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4. 순수출 (Net Exports): 국가가 해외에 판매한 제품(수출)에서 해외에서 구매한 제품(수입)을 뺀 값입니다. 즉, 수출 - 수입입니다.
    • 수출 증가는 경제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 수입 증가는 순수출을 감소시켜 경제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GDP의 증가율은 경제 성장률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GDP가 전년 대비 2% 성장했다면, 해당 국가 경제는 2% 성장한 것입니다. 높은 GDP 성장률은 경제가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신호이며, 반대로 GDP 성장률이 감소하거나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경제가 침체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위 그래프는 미국 GDP 차트입니다. 

차트를 보시면 2020.2월~2020.8월까지 급격히 경제가 침체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OVID-19 팬데믹으로 불확실한 경제 전망 속에서 대규모 봉쇄 및 제한이 이루어지면서 소비와 생산이 크게 위축되었고, 실업률도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2020.8월 이후부터 GDP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봉쇄 완화로 인한 경제 재개와 대규모 정부 경기 부양책으로 소비와 소비자 신뢰가 서서히 회복되었습니다. 

또한 저금리로 인해 주택 시장이 회복되었으며, 2020.11월에는 백신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주식 시장과 소비자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경기 또는 경제 활동은 크게 호황불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GDP는 경제가 어떤 국면에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 호황 (Boom): GDP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실업률은 낮고, 소비와 투자 활동이 활발한 상태입니다. 이 시기에 기업들은 더 많은 생산을 하며, 고용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불황 (Recession): GDP가 두 분기 이상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시기로, 경제가 위축되며 실업률이 상승하고,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는 시기입니다. 불황은 기업들이 생산을 줄이거나, 투자 계획을 미루게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 경기 침체 (Depression): 경제의 하강이 더욱 심화되어, 장기간 동안 낮은 GDP 성장률을 보이는 상태입니다.

 

 

 

 

 

GDP와 주가는 상호작용을 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집니다:

  1. 경제 성장과 주가 상승: GDP가 성장하고 경제가 호황을 맞이하면 기업들의 수익성이 증가하고, 소비와 투자도 활발해집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이 더 많은 이익을 내게 되고, 이는 주식시장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투자자들은 더 높은 이익을 기대하며 주식을 매입하고, 주가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경기 둔화와 주가 하락: GDP 성장률이 둔화되거나 감소할 경우, 기업들의 수익이 줄어들고, 소비와 투자도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불확실성은 주식시장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주가 하락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미래 예측에 따른 변동성: 주식시장은 GDP 발표 후 즉각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상보다 GDP 성장률이 낮으면 투자자들은 경기 침체 우려를 반영하여 주식을 매도할 수 있고, 반대로 예상보다 높은 GDP 성장률이 발표되면 주가는 상승할 수 있습니다.

 

 

 

 

 

 

  • GDP 상승 → 경기 회복 및 주가 상승
    경제 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기업의 수익성과 국가 경제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양호하다는 신호입니다. 이는 주식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주가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GDP 감소 → 경기 침체 및 주가 하락
    경제 성장률이 하락하거나 GDP가 감소하면 기업들의 이익 전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지출이 줄어들고, 기업들의 투자가 위축되면서, 주식시장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예상보다 큰 GDP 변화
    경제 성장률이 예상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 주식시장은 이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예상보다 높은 성장률은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반대로 예상보다 낮은 성장률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GDP는 경제 활동의 총합을 나타내며, 경제 성장과 경기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GDP 성장률이 높으면 경제가 호황에 있다는 신호로, 이는 일반적으로 주가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반대로 GDP 성장률이 낮으면 경기 침체나 불황을 예고할 수 있고, 이는 주가 하락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식시장은 종종 예상보다 빠르게 반응하기 때문에, GDP 발표 직후의 시장 변동성은 다소 클 수 있습니다.

 

앞으로 다양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