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이야기

서울 5월 매매가격, 전세가격, 매매거래, 매수우위 지수 부동산 차트 분석

by 실천부자 2024. 6. 3.
728x90
반응형

 

오늘은 서울의 5월 부동산 데이터를 통해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매매가격, 전세가격지수와 매매거래, 매수우위 지수를 통합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의 5월 매매가격, 전세가격, 매매대비전세율 그래프를 나타낸 것입니다. 

그래프를 봤을 때 어떤 추세를 보이는가요?

매매가격지수의 경우에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전세가격지수의 경우에는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5월 매매가격지수는 90.1로 전월에 비해 0.1 감소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글에서 전세가격지수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면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옮겨가서 매매가격지수가 올라갈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옮겨질 때 함께 증가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가계 대출입니다. 

아래는 가계 대출이 증가하고 있다는 기사입니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240602508398?OutUrl=naver

 

주택매매 꿈틀대자… 가계대출 한 달 새 4.7조↑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한 달 새 4조7000억원 증가했다. 부동산 거래가 늘어난 덕분에 4월과 5월 두 달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2일 은행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

www.segye.com

 

5월 전세가격지수는 88.4로 전월에 0.4 증가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증가폭이 크다는 것은 전세 가격이 큰 폭으로 올라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5월 매매거래 지수는 2023.12월 이후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4.4월(14.1)은 전월(7.7)에 비해 큰 폭으로 매매거래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치로 봤을 때는 매매거래가 한산한 정도이지만 조금씩 매매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월 매수우위 지수는 32.1로 전월(33.0)에 비해 0.9 감소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수가 감소했다는 것은 5월에도 매도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울의 5월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매매가격지수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전세가격지수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갭 차이가 계속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전세 수요가 대출을 받아 매매 수요로 옮겨지는 현상이 조금씩 보여지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매도자가 매수자보다 많은 상황입니다. 

매매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경우 매도자는 매물을 거두는 현상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앞으로 매매 수요가 계속 증가하는지의 여부는 주간 데이터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앞으로 다양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